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현재, 경기도에서도 기초노령연금 제도가 활발히 시행되고 있습니다. 만 65세 이상 어르신의 생활 안정을 위해 매월 일정 금액을 지원하는 제도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경기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과 신청 절차를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 대상: 만 65세 이상 경기도 거주 어르신
- 소득기준: 단독가구 2,020,000원 / 부부가구 3,230,000원 이하
- 신청장소: 주민센터 / 복지로 / 국민연금공단
경기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 연령 조건: 만 65세 이상 (출생월 기준)
- 국적·거주 조건: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고 경기도 내 주소지에 실제 거주
- 소득인정액 조건: 기준 이하인 경우 수급 가능
소득인정액은 근로소득, 연금소득, 부동산, 예금 등 모든 재산을 포함해 계산됩니다. 2025년 기준으로 단독가구는 월 2,020,000원 이하, 부부가구는 월 3,230,000원 이하여야 합니다. 경기도의 농촌 지역은 상대적으로 기본재산 공제액이 커서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대도시 공제액: 8,500만 원
- 중소도시: 5,400만 원
- 농어촌: 4,300만 원
기초노령연금 지급 금액
| 구분 | 월 최대 지급액 | 비고 |
|---|---|---|
| 단독가구 | 최대 334,000원 | 소득인정액에 따라 차등 |
| 부부가구 | 최대 534,000원 | 부부 모두 수급 시 20% 감액 |
| 기초생활수급자 | 최대 400,000원 | 추가 지원 가능 |
경기 기초노령연금 신청 절차
- 신청기간: 연중 상시 (언제든 접수 가능)
- 지급일: 매월 25일 (공휴일 전일 지급)
① 온라인 신청 (복지로)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복지로 앱에서 본인 인증 후 ‘기초연금 신청’ 메뉴를 클릭하면 됩니다. 별도 서류 없이 5분 내 신청 가능하며, 처리 결과는 문자로 안내됩니다.
② 주민센터 방문 신청
거주지 관할 경기도 내 주민센터를 방문해 신분증과 통장 사본을 제출하세요. 대리 신청 시에는 위임장 및 가족관계증명서를 함께 지참해야 합니다.
③ 국민연금공단 방문 또는 전화 신청
국민연금공단 고객센터(1355)에 문의하거나 경기 지역 지사 방문을 통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 신청장소: 주민센터 / 복지로 / 국민연금공단
- 필요서류: 신분증, 통장사본, 위임장(대리 시)
- 지급일정: 매월 25일
유의사항
- 신청하지 않으면 자동 지급되지 않음 (본인 신청 필수)
- 소득·재산 변동 시 다음 달부터 지급액 조정 가능
- 부부 수급 시 각자 20% 감액 적용
경기 기초노령연금 FAQ
- Q1. 언제부터 받을 수 있나요?
- A. 만 65세 생일이 속한 달부터 수급 가능합니다. 신청한 달부터 지급되므로 생일 전 미리 신청하세요.
- Q2. 국민연금과 함께 받을 수 있나요?
- A. 가능합니다. 단,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을 경우 기초연금액이 일부 감액될 수 있습니다.
- Q3. 경기 농어촌 지역은 추가 혜택이 있나요?
- A. 네. 농어촌 지역은 기본재산 공제액이 높아 수급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2025년 경기 기초노령연금,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경기 기초노령연금은 어르신의 노후 생활을 위한 필수 복지제도입니다. 수급자격을 충족한다면 생일 전에 미리 신청해 매월 25일 지급되는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에서 간편하게 신청 가능합니다.
✔ 요약 정리
- ✅ 대상: 만 65세 이상, 경기도 거주
- ✅ 소득기준: 단독 2,020,000원 / 부부 3,230,000원 이하
- ✅ 신청장소: 주민센터 / 복지로 / 국민연금공단
- ✅ 지급일: 매월 25일
- ✅ 최대금액: 월 40만 원
경기지역 어르신이라면 꼭 확인하세요. 경기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과 신청 절차를 숙지하고, 든든한 노후를 위한 정부 지원 혜택을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