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단기 알바는 근무 기간이 짧고 스케줄이 유동적이라 주휴수당을 놓치기 쉽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단기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및 지급조건을 1분내 확인할 수 있도록 핵심만 정리했습니다.
특히 기간이 짧아도 지급조건을 충족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아래 체크리스트와 예시를 바로 대입해 보세요. (예시는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 기준)
- 핵심요약: 주 15시간 이상 + 1주 개근 ⇒ 주휴수당 발생
- 계산공식: (1주 소정근로시간 ÷ 소정근로일수) × 시급
- 단기 알바 관건: 스케줄 확정과 개근 입증, 일정 기록 보관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1주 동안 약속한 근무일(소정근로일)을 모두 출근하고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지급되는 하루치 임금입니다. 근로계약서에 따로 적지 않아도 법으로 자동 발생하는 수당이에요.
- 법적 근거: 근로기준법 제55조(유급주휴)
- 대상: 아르바이트·단시간 근로 포함, 주 15시간 이상 + 개근
- 지급 주체: 사업주
단기 알바 주휴수당 지급조건 1분 체크리스트
- ① 주 15시간 이상? 예) 주 3일×5시간, 주 5일×3시간 등 합계 ≥ 15시간
- ② 1주 개근? 소정근로일(스케줄표·근로계약서 명시일) 모두 출근
- ③ 스케줄 확정? 전날/당일 배정이라도 사전 확정된 근무면 소정근로일로 인정
- ④ 교육/대기/인수인계 등이 지휘·감독 하에 있었다면 근로시간 포함 가능
- ⑤ 휴게시간은 원칙상 근로시간 제외(실질적 업무대기면 포함 소지)
요약: “주 15시간 이상 + 개근”이면 단기(1~2주)라도 지급대상이 됩니다. 근무 일정과 출퇴근 기록을 캡처해두면 입증이 쉬워요.
단기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2025년 시급 10,030원 기준)
공식 하나면 끝! 본인의 총 근로시간·소정근로일수·시급만 대입하면 1분내 확인하기 가능합니다.
주휴수당 = (1주 소정근로시간 ÷ 소정근로일수) × 시급
예시 1) 주 3일 × 5시간 = 총 15시간, 시급 10,030원
(15 ÷ 3 = 5시간) × 10,030원 = 50,150원
예시 2) 주 4일 × 4.5시간 = 총 18시간, 시급 10,030원
(18 ÷ 4 = 4.5시간) × 10,030원 = 45,135원
예시 3) 행사주간 스케줄 (총 20시간), 시급 10,030원
| 요일 | 근무내용 | 근무시간 |
|---|---|---|
| 월 | 행사 보조 | 5h |
| 수 | 피켓팅/정리 | 5h |
| 금 | 물품 상하차 | 5h |
| 토 | 정산 보조 | 5h |
(20 ÷ 4 = 5시간) × 10,030원 = 50,150원
※ 야간·연장·휴일수당은 주휴수당과 별개입니다. 혼합 계산하지 않습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단기 알바에서 주휴수당이 안 나오는 대표 사례
- 주 15시간 미만 — 1분 부족해도 미지급
- 결근 — 소정근로일 중 1회라도 결근이면 개근 불인정
- 스케줄 미확정/임의취소 — 본인 사유로 취소 시 소정근로일 불명확
- 실근로가 1주에 못 미침 — 주 단위 요건 불충족
단기 현장은 대타 교체가 잦습니다. 변경 시에는 일정 재확정(문자·메신저·앱 스케줄 캡처)을 남기세요.
지급 기간·일정·급여명세서 점검
- 지급 기간: 해당 주 근무 기준으로 다음 급여에 반영
- 지급 일정: 주급/격주/월급 체계에 따라 합산 지급
- 명세서 확인: 주휴수당 또는 유급주휴 항목이 별도 표기되는지 필수 체크
누락 의심 시, 정산 요청 → 미반영이면 증빙과 함께 공식 지원 창구 상담을 권장합니다.
- 혜택 포인트 : 조건 충족 시 일하지 않아도 하루치 임금 보장
- 신청 필요? : 원칙상 별도 신청 없음 (법정수당)
- 증빙 팁 : 근로계약·스케줄·출퇴근·교육/대기시간 기록을 한 폴더에 모으기
상황별 빠른 계산 시나리오
① 2주만 일하는 단기 행사 알바 (첫째 주 16h, 둘째 주 10h)
- 첫째 주: 16h & 개근 ⇒ 주휴수당 발생
- 둘째 주: 10h ⇒ 미발생
첫째 주 주휴 = (16 ÷ 소정근로일수) × 10,030원
② 콜대타 중심 스케줄 (월/수/금 4h + 토 3h = 15h)
— 소정근로일로 확정·개근 시 주휴수당 발생
(15 ÷ 4 = 3.75h) × 10,030원 = 37,612.5원 (반올림 적용 가능)
③ 교육 1h + 실근로 14h = 총 15h
— 교육이 사용자의 지휘·감독 하라면 근로시간 포함 가능. 개근 시 주휴 발생
(15 ÷ 소정근로일수) × 10,030원
자주 묻는 질문(FAQ)
- Q1. “주휴 포함 시급”이라고 안내받았어요. 맞나요?
- A. 기본시급과 주휴수당은 분리 표기가 원칙입니다. 명세서에 주휴수당 항목을 별도로 요구하세요.
- Q2. 두 곳에서 단기 알바를 동시에 하면 시간 합산되나요?
- A. 사업장별로 판단합니다. 각 사업장에서 주 15시간 이상 + 개근을 충족해야 그 사업장에서 주휴가 발생합니다.
- Q3. 1주 미만으로 일하면 주휴 없나요?
- A. 원칙적으로 주 단위 요건이므로 실근로가 1주에 미달하면 주휴수당이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실제 스케줄·개근 여부에 따라 판단되므로 일정 관리가 중요합니다.
- Q4. 주휴는 언제 일정으로 반영되나요?
- A. 보통 해당 주 근로를 기준으로 다음 급여(주급/격주/월급)에 합산 반영됩니다.
- Q5. 누락된 것 같다면 신청해야 하나요?
- A. 신청 수당은 아니지만, 정산 요청은 필요합니다. 근로계약/스케줄/출퇴근기록을 첨부해 요청하세요.
초간단 체크: 나의 주휴수당 1분내 확인하기
- 이번 주 소정근로일수를 스케줄표로 확인
- 이번 주 총 근로시간 합계 계산
- 아래 공식에 시급을 넣어 금액 산출
주휴수당 = (총 근로시간 ÷ 소정근로일수) × 시급
예: 총 16시간, 소정 4일, 시급 10,030원 → (16÷4=4)×10,030 = 40,120원
미지급 시 대응 순서 (정확하게 챙기기)
- 1단계 — 근로계약서·스케줄·출퇴근기록·메신저·교육/대기시간 증빙 수집
- 2단계 — 담당자에게 정산 요청(메일/메신저로 기록 남기기)
- 3단계 — 반영 실패 시 공식 지원 창구 상담
증빙을 체계적으로 모아두면 정산 성공률이 크게 높아집니다. 무엇보다 지급조건을 미리 알고 스케줄을 계획적으로 구성하세요.
마무리: 단기 알바라도 주휴수당은 권리입니다
2025년 단기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및 지급조건 1분내 확인하기의 핵심은 주 15시간 이상 + 개근입니다. 기간이 짧아도 요건만 충족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오늘 바로 스케줄과 근무기록을 정리하고, 급여명세서에서 주휴수당 항목이 제대로 반영되는지 확인하세요. 정당한 임금은 스스로 챙길 때 가장 확실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