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카페에서 바쁜 피크타임(오전/점심/퇴근 전)에 일하다 보면 급여 항목을 꼼꼼히 보지 못해 주휴수당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은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카페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및 지급조건을 1분내 확인하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주 15시간 이상 + 개근만 충족하면, 일하지 않아도 하루치 임금을 받는 법정 혜택이에요. 아래 체크리스트와 예시만 따라오시면, 본인이 받을 금액을 즉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시는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 기준)
- 핵심 요약: 주 15시간 이상 + 1주 개근이면 주휴수당 발생
- 계산 공식: (1주 소정근로시간 ÷ 소정근로일수) × 시급
- 카페 알바 특징: 스케줄표(소정근로일)와 피크타임 조정이 관건
주휴수당이란? (카페 알바 맞춤 해설)
주휴수당은 1주 동안 소정근로일을 모두 출근하고,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보장되는 하루치 임금입니다. 바리스타/서빙/매장관리처럼 단시간·교대가 잦아도 조건만 만족하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별도 신청이 없어도 자동 발생한다는 점이 중요해요.
- 법적 근거: 근로기준법 제55조(유급주휴)
- 대상: 아르바이트·단시간 근로자 포함, 주 15시간 이상 + 개근
- 지급 주체: 사업주(점주)
카페 알바 주휴수당 지급조건 1분 체크리스트
- ① 주 15시간 이상? 예) 주 3일×5시간, 주 5일×3시간 등 합계가 15시간 이상이면 통과
- ② 1주 개근? 소정근로일(근로계약서·스케줄표에 정한 날) 모두 출근
- ③ 스케줄 변경? 사전 합의로 바꿨다면 변경된 일정이 기준
- ④ 교육/마감정산/발주대기 등 지휘·감독 하의 시간은 근로시간 포함 가능
- ⑤ 휴게시간은 원칙상 근로시간 제외(실질적 대기가동이면 포함 소지)
요약하면 “주 15시간 이상 + 개근”이면 지급조건 충족입니다. 카톡 스케줄·출퇴근기록을 기간별로 보관해 두면 누락 시 입증이 쉬워요.
카페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2025년 시급 10,030원 기준)
아래 공식에 총 근로시간·소정근로일수·시급만 넣으면 1분내 확인하기 가능합니다.
주휴수당 = (1주 소정근로시간 ÷ 소정근로일수) × 시급
예시 1) 주 5일 × 4시간 (총 20시간), 시급 10,030원
(20시간 ÷ 5일) × 10,030원 = 40,120원
예시 2) 주 3일 × 5시간 (총 15시간), 시급 10,030원
(15시간 ÷ 3일) × 10,030원 = 50,150원
예시 3) 주 4일 × 6시간 (총 24시간), 시급 10,030원
(24시간 ÷ 4일) × 10,030원 = 60,180원
※ 야간/연장/휴일수당은 주휴수당과 별개입니다. 주휴수당은 “유급휴일 임금”으로 위 공식을 그대로 적용합니다.
카페 알바에서 주휴수당이 안 나오는 대표 케이스
- 주 15시간 미만 — 1분 부족해도 미지급
- 결근 — 소정근로일 중 1회라도 결근이면 개근 불인정
- 임의 스케줄 취소 — 본인 사유 취소로 소정근로일 자체가 불명확
- 1주 미만 근로 — 실근로 주가 1주에 못 미치는 단기 근무
카페는 피크타임에 인력이 급변해 스케줄 변경이 잦습니다. 변경 시에는 일정 재확정(문자·메신저 기록)을 남겨 두세요.
지급 기간·일정·급여명세서 확인
- 지급 기간: 해당 주 근무 기준으로 다음 급여에 반영
- 지급 일정: 주급/격주/월급 체계에 따라 합산 지급
- 명세서 체크: 주휴수당·유급주휴 항목 별도 표기 확인
명세서에 누락됐다면 정산 요청→ 반영 실패 시 근거자료(스케줄·출퇴근기록·CCTV 열람요청 이력 등)로 지원 창구에 상담하세요.
- 혜택 포인트: 조건 충족 시 일하지 않아도 하루치 임금 보장
- 신청 필요? 별도 신청 없음, 법으로 자동 발생
- 지원·상담: 미지급 시 노무상담 및 공적 창구 이용
카페 알바 상황별 계산 시나리오
① 오픈조(3h) + 미들(3h) + 마감(4h) 혼합, 주 5일 (총 20h)
— 커피머신 예열/폐기정리/재고체크 시간이 업무지시 하에 이루어지면 근로시간 포함.
(20 ÷ 5) × 10,030 = 40,120원
② 피크타임만 주 3일×5h(총 15h)
— 딱 맞춰 지급조건 충족. 결근 시 불인정되니 교대는 사전조율 필수.
(15 ÷ 3) × 10,030 = 50,150원
③ 교육 1h + 근무 14h (총 15h)
— 교육이 사용자의 지휘·감독 하에 있으면 원칙상 근로시간 포함 가능. 개근 시 주휴 발생.
(15 ÷ 3) × 10,030 = 50,150원
자주 묻는 질문(FAQ)
- Q1. “주휴 포함 시급”이라는데 괜찮나요?
- A. 기본시급과 주휴수당은 분리 표기가 원칙입니다. 포함 표기는 분쟁을 유발하므로 명세서에 별도 표기를 요청하세요.
- Q2. 카페 두 곳에서 각각 8h씩 일하면 합산되나요?
- A. 사업장 별도 판단이 원칙입니다. 한 사업장에서 주 15시간 이상 + 개근을 충족해야 그 사업장에서 주휴 발생.
- Q3. 지각·조퇴도 개근을 깨나요?
- A. 사규·출퇴근 규정에 따라 결근 처리되면 개근이 깨질 수 있습니다. 교대는 사전 협의로 일정을 조정하세요.
- Q4. 주휴수당은 어느 시점에 받나요?
- A. 보통 해당 주의 근로가 반영된 다음 급여에 합산됩니다. 지급 기간·일정은 매장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
- Q5. 누락 의심 시 바로 할 일은?
- A. 스케줄표·출퇴근기록·정산내역을 정리해 정산 요청→ 미반영 시 공식 지원 창구 상담을 권장합니다.
초간단 체크: 나의 주휴수당 1분내 확인하기
- 이번 주 소정근로일수(스케줄표)를 확인
- 이번 주 총 근로시간(출퇴근 합계)을 계산
- 아래 공식에 시급을 넣어 금액 산출
주휴수당 = (총 근로시간 ÷ 소정근로일수) × 시급
예: 총 16시간, 소정 4일, 시급 10,030원 → (16÷4=4)×10,030 = 40,120원
미지급 시 대응 순서 (현명하게 챙기기)
- 1단계 — 근로계약서·스케줄·출퇴근기록·메신저 캡처 등 증빙 확보
- 2단계 — 담당자/점주에 정산 요청(문서·메신저로 기록 남기기)
- 3단계 — 반영 실패 시 공식 상담 지원 창구 이용
증빙을 잘 모아두면 누락 정정 가능성이 크게 높아집니다. 무엇보다 지급조건을 미리 알고 스케줄을 계획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최선이에요.
마무리: 카페 알바라면 주휴수당 꼭 챙기세요!
2025년 카페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및 지급조건 1분내 확인하기의 핵심은 단 두 가지입니다.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했다면, 신청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발생하는 법정 혜택이라는 점! 오늘 바로 스케줄을 점검하고, 내 급여명세서에서 주휴수당이 정확히 반영되는지 확인하세요. 정당한 임금은 스스로 챙길 때 가장 확실합니다.





























